골프 용어 중에 자주 사용하고 있는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 궁금할 때
첫번째로 루스임페디먼트
루스임페디먼트란 다음과 같이 어딘가에 붙어있지 않은 모든 자연물을 말한다.
● 돌멩이, 붙어있지 않은 풀, 낙엽, 나뭇가지, 나무토막
● 동물의 사체와 배설물
● 벌레와 곤충, 벌레나 곤충처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동물, 그런 동물들이 만든 흙더미나 거미줄
(예, 지렁이 똥이나 개밋둑)
● 뭉쳐진 흙덩어리(에어레이션 찌꺼기 포함) 다음과 같은 상태의 자연물은 루스임페디먼트가 아니다.
● 자라거나 붙어있는 상태
● 지면에 단단히 박혀있는 상태(즉, 쉽게 뽑히지 않는 상태)
● 볼에 달라붙어있는 상태
특별한 경우:
● 모래와 흩어진 흙은 루스임페디먼트가 아니다.
● 이슬과 서리와 물은 루스임페디먼트가 아니다.
● 눈과 천연 얼음(서리는 제외)은 루스임페디먼트이며, 지면에 있는 경우에는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일시적으로 고인 물로 간주될 수 있다.
● 거미줄은 다른 물체에 붙어있더라도 루스임페디먼트이다.
루스임페디먼트는 위치나 장소에 따라서 제거하는 방법을 달리 사용하고 있으니 규칙을 찾아보고 하거나 레프리를 통해 해결책을 상의 후에 진행하기 바라며 만약에 없을시 타 플레이어와 협의 후 진행하고 혹시 수정이 있을시에는 당해 경기 종료 전에 반드시 수정하여야 한다.
리플레이스 Replace
리플레이스란 볼을 인플레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그 볼을 내려놓아 플레이스 하는 것을 말한다.
플레이어가 인플레이하려는 의도 없이 볼을 내려놓은 경우, 그 볼은 리플레이스된 것이 아니므로 인플레이볼이 아니다(규칙 14.4 참조).
규칙에서 볼을 리플레이스할 것을 요구할 때에는 반드시 그 볼이 리플레이스 되어야 할 특정한 지점이 그 관련 규칙에 규정되어있다.
페널티 없는 구제나 페널티 구역에서 리플레이스라는 것을 꼭 들어가 있어서 용어에 대한 설명을 올립니다.
마커 Marker
마커란 스트로크플레이에서 플레이어의 스코어카드에 그 플레이어의 스코어를 기록하고 그 스코어카드를 확인하고 서명하여야 할 책임이 있는 사람을 말 한다. 다른 플레이어는 마커가 될 수 있지만, 플레이어의 파트너는 마커가 될 수 없다.
위원회는 플레이어의 마커를 지정해줄 수도 있고 플레이어들에게 마커를 선택 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도 있다.
마크 Mark
마크란 볼이 정지한 지점을 나타내기 위하여
● 그 볼 바로 뒤나 옆에 볼마커를 놓아두거나
● 클럽을 들고 그 볼 바로 뒤나 옆의 지면에 그 클럽의 한쪽 끝을 대는 것을 말한다.
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볼을 집어 올린 후 그 볼을 반드시 리플레이스하여야 할 지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.
볼마커 Ball-Marker
볼마커란 티·동전·볼마커용으로 만들어진 물건·그 밖의 자그마한 장비처럼, 집어 올릴 볼의 지점을 마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인공물을 말한다.
규칙에서 어떤 볼마커를 움직인 것에 대하여 언급하는 경우, 그것은 집어 올린 후 아직 리플레이스하지 않은 볼의 지점을 마크하기 위하여 코스 상에 놓아둔 볼마커를 의미한다.
분실 Lost
분실이란 플레이어나 플레이어의 캐디(또는 플레이어의 파트너나 파트너의 캐 디)가 볼을 찾기 시작한 후 3분 안에 그 볼이 발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.
볼을 찾기 시작한 후 타당한 이유(예, 플레이가 중단된 경우 또는 다른 플레이 어가 플레이하는 것을 기다리느라 잠시 비켜서 있는 경우)가 있어서 또는 플레이어가 확인했던 볼이 잘못된 볼이라서 볼 찾기가 중단된 경우,
● 볼 찾기가 중단된 후 재개되기까지의 시간은 볼을 찾는 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며
● 볼 찾기에 허용되는 시간은 볼을 찾기 시작했을 때부터 중단될 때까지의 시간과 볼 찾기를 재개한 이후의 시간을 합하여, 총 3분이다.
플레이어가 볼을 분실했다고 선언한다고 해서, 그 볼이 분실된 볼이 되는 것은 아니다. 플레이어나 플레이어의 캐디(또는 플레이어의 파트너나 파트너의 캐디)가 볼을 시작한 후 3분 안에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 한하여, 그 볼은 분실된 볼이다.
예를 들면, 플레이어가 2분 동안 자신의 볼을 찾아본 후 분실했다고 선언하고, 다른 볼을 플레이하기 위하여 직전의 스크로크를 한 지점으로 도로 걸어갔다. 그런데 플레이어가 다른 볼을 인플레이하기 전에, 원래의 볼이 볼 찾기에 허용 된 시간(3분) 안에 발견됐다. 플레이어는 자신의 볼을 분실했다고 선언할 수 없기 때문에, 원래의 볼이 여전히 인플레이볼이다.
수리지 Ground Under Repair
수리지란 위원회가 그 코스에서 수리지로 규정한 모든 부분(표시 여부와 관계 없이)을 말한다. 다음과 같은 부분들은 모두 수리지에 포함된다.
● 수리지의 경계 안의 모든 지면
● 수리지에 뿌리를 둔 풀이나 덤불, 나무 또는 그 안에서 자라거나 붙어있는 모 든 자연물과 그러한 자연물들이 수리지의 경계 밖 지면 위로 뻗어나간 모든 부분(그러나 그 자연물이 수리지의 경계 밖 지면에 붙어있거나, 그 경계 안에 뿌리를 둔 나무의 뿌리가 땅속으로 그 경계 밖으로 뻗어나간 부분처럼, 그 지면 아래에 있는 부분은 포함되지 않는다.)
다음과 같은 것들은 위원회가 수리지로 규정하지 않더라도 수리지에 포함된다.
● 위원회나 코스 관리팀에 의하여 만들어진 모든 구멍
» 코스를 세팅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구멍(예, 말뚝을 제거한 곳에 생긴 구멍 또는 다른 홀의 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는 더블 그린 상의 홀)
» 코스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구멍(예, 뗏장이나 나무 그루터기를 제거하거나 배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생긴 구멍, 그러나 에어레이션 구 멍은 제외)
● 나중에 치우려고 쌓아둔 깎아낸 잔디나 낙엽의 더미 또는 그 밖의 모든 자재
» 다만 나중에 치우려고 쌓아둔 자연물은 루스임페디먼트이기도 하며
» 위원회가 수리지로 규정하지 않은 한, 치울 의도 없이 코스에 방치된 각종 자재는 수리지가 아니다.
● 플레이어의 스트로크나 스탠스로 인하여 훼손될 위험이 있을 정도로 그 플 레이어의 볼 가까이 있는 모든 동물의 서식지(예, 새 둥지) - 그러나 루스임 페디먼트로 규정된 동물(예, 벌레나 곤충)이 만든 서식지는 제외
수리지의 경계는 말뚝이나 선 또는 지형으로 규정되어야 한다.
● 말뚝: 말뚝으로 규정된 경우, 수리지의 경계는 그 말뚝과 지면의 바깥쪽 접점들을 이은 선으로 규정되며, 말뚝은 수리지 안에 있는 것이다.
● 선: 지면 위에 칠한 선으로 규정된 경우, 수리지의 경계는 그 선의 외곽선이며, 선 자체는 수리지에 있는 것이다.
● 지형: 지형(예, 화단이나 잔디 재배지)으로 규정된 경우, 위원회는 수리지의 경계를 명확하게 규정하여야 한다. 수리지의 경계가 선이나 지형으로 규정된 경우, 말뚝은 그곳이 수리지임을 나 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뿐 다른 의미는 없다.
오너 Honour
오너란 플레이어가 티잉구역에서 첫 번째로 플레이할 권리를 말한다(규칙 6.4 참조).
아웃오브바운즈 Out of Bounds
아웃오브바운즈란 위원회가 규정한 코스의 경계 밖의 모든 구역을 말한다. 그 경계 안의 모든 구역은 인바운즈이다.
코스의 경계는 지면으로부터 위와 아래, 양방향으로 연장된다.
● 코스의 경계 안에 있는 모든 지면과 물체(예, 자연물과 인공물)는 지면에 있든 지면 위 또는 아래에 있든 모두 인바운즈에 있는 것이다.
● 어떤 물체가 코스의 경계 안팎으로 양쪽에 걸쳐있는 경우(예, 경계 울타리에 붙어있는 계단이나 그 경계 밖에 뿌리를 둔 나무의 가지가 경계 안으로 뻗어 들어온 부분 또는 그 반대인 경우)에는 그 경계 밖에 있는 부분만 아웃오브바운즈에 있는 것이다.
코스의 경계는 코스의 경계물이나 선으로 규정되어야 한다.
● 코스의 경계물: 말뚝이나 울타리로 규정된 경우, 코스의 경계는 그 말뚝이나 울타리 기둥(비스듬하게 세워진 지지대는 제외)과 지면의 코스 쪽 접점들을 이은 선으로 규정되며, 그 말뚝이나 울타리 기둥은 아웃오브바운즈에 있는 것이다.
코스의 경계가 벽과 같은 물체로 규정되거나 위원회가 경계 울타리를 달 리 간주하고자 하는 경우, 위원회는 그 코스의 경계를 명확하게 규정하여 야 한다.
● 선: 지면 위에 칠한 선으로 규정된 경우, 코스의 경계는 그 선의 코스 쪽 외곽선이며, 그 선 자체는 아웃오브바운즈에
있는 것이다.
코스의 경계가 지면 위에 칠한 선으로 규정된 경우, 말뚝은 코스의 경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뿐 다른 의미는 없다.
코스의 경계를 규정하는 말뚝이나 경계선은 흰색이어야 한다.
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 Movable Obstruction
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이란 합리적인 노력으로, 그 장해물이나 코스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을 말한다.
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이나 코스와 분리할 수 없는 물체(예, 게이트·문·부착 된 케이블)의 일부가 위의 두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경우, 그 부분은 움 직일 수 있는 장해물로 간주된다.
그러나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이나 코스와 분리할 수 없는 물체의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 움직여서는 안 되는 것(예, 돌담에 붙어있지는 않지만 그 돌담의 일부인 돌)인 경우에는 움직일 수 있는 장해물로 간주되지 않는다.
어떤 장해물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이라도, 위원회는 그것을 움직일 수 없는 장해물로 규정할 수 있다.
인플레이 In Play
인플레이란 홀 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는 플레이어의 볼이 코스에 놓여 있는 상태를 말한다.
● 볼이 홀에서 처음 인플레이되는 시점은 다음과 같다.
» 플레이어가 티잉구역 안에서 그 볼에 스트로크를 했을 때
» 매치플레이에서 플레이어가 티잉구역 밖에서 스트로크를 했지만, 상대방 이 규칙 6.1b에 따라 그 스트로크를 취소시키지 않았을 때
● 이와 같이 인플레이된 볼은 홀에 들어갈 때까지 계속 인플레이볼이다. 다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더 이상 인플레이볼이 아니다.
» 그 볼을 코스에서 집어 올린 경우
» 그 볼이 분실(코스 상에 있지만 찾지 못한 경우 포함)되거나 아웃오브바운 즈에 정지한 경우
» 규칙에서 허용되지 않는데 교체한 경우를 포함하여, 그 볼을 다른 볼로 교체한 경우
인플레이볼이 아닌 볼은 잘못된 볼이다.
어떤 경우든, 플레이어의 인플레이볼은 하나이다(플레이어가 한 홀에서 두 개 이상의 볼을 플레이할 수 있는 제한적인 경우 – 규칙 6.3d 참조).
규칙에서 정지한 볼이나 움직이고 있는 볼을 언급하는 경우, 그것은 인플레이 상태의 볼을 의미한다.
인플레이볼의 지점을 마크하기 위하여 볼마커를 놓아두고,
● 그 볼을 집어 올리지 않은 경우, 그 볼은 여전히 인플레이볼이며
● 그 볼을 집어 올렸다가 리플레이스한 경우, 그 볼마커를 제거하지 않았더라 도 그 볼은 인플레이볼이다.
일반 페널티 General Penalty
일반 페널티란 매치플레이에서 홀 패, 스트로크플레이에서 2벌타를 말한다.
나머지는 용어의 정리 2에서
'골프 스윙에 관련 모든 것 > 골프규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골프 페널티 있는 구제 (0) | 2022.11.16 |
---|---|
골프 용어의 정리 2 (0) | 2022.11.11 |
골프 페널티 없는 구제 4 (2) | 2022.11.09 |
골프 페널티 없는 구제 3 (0) | 2022.11.09 |
골프 페널티 없는 구제 2 (0) | 2022.11.07 |
댓글